갑신정변의 배경과 의의
1. 갑신정변의 배경(1884)
신식군대(별기군)와 구식군대의 차별대우로인한 구식군대의 반란으로 임오군란(1882)이 일어나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청 : 조선내 청군대 주둔, 재정.외교고문 파견해 재정간섭, 조.청 상민 수륙무역장정을 맺어 상권,경제권 침략.
▶일본 : 군란시 일본공사관 침입을 빌미로 제물포조약을 체결하여 일본경비병 주둔 및 막대한 배상금 요구 등.
위와 같이 임오군란으로 정치적으로도 재정적으로도 파국으로 치달은 상황에서 청나라에 대한 입장차이로 황후 민씨 및 온건개화파와 청나라의 간섭심화에 거부감을 느낀 급진개화파간의 갈등은 더욱 고조되고 있었다.
▶온건개화파[김홍집] : 치열한 국제정세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청나라의 도움을 받아 차근차근 근대화를 밟아나갈 것을 주장.
▶급진개화파[김옥균] : 자주적인 조선의 근대화 추진을 위해서는 조선을 속국으로 여기는 청의 정치적 간섭으로 부터 벗어날 것을 주장.
이 같은 상황에서 민씨일족과 온건개화파로 인해 급진개화파의 계획은 번번히 실패로 돌아갔다. 특히 개화정책 추진에 드는 비용마련에 대해 민씨일족과 청의 고문인 묄렌도르프는 화폐를 많이 찍어내자는 입장이었던 반면, 급진개화파는 흥선대원군때 경복궁 증건을 위해 발행했던 당백전의 폐해를 주장, 이를 반대하며 일본에 차관을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고종은 급진개화파에 조금더 우호적이었던 만큼 일본차관을 승낙을하고 김옥균이 일본에 요청하였으나 일본의 거절로 차관은 불발되고 급진개혁파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게 된다. 급진개혁파의 입지가 좁아진 틈을 타 온건개혁파는 병권을 갖고 있는 지위에서 이들을 쫓아내려 시도한다.
한편 이때 청나라와 프랑스 사이에 베트남 문제로 전쟁이 일어나게 되자 청은 조선내 주둔해있던 청의 군대 3000명중 절반을 급히 베트남으로 파병시키게 되는데 이기회를 틈타 일본은 급진개화파에 군대지원을 약속하고 이를 믿고 급진개화파는 정변을 일으키게 된다.
2. 갑신정변의 전개
1884년 급진개화파는 우정국(지금의 우체국)개국 축하연에서 일본의 힘을 빌려 정변을 일으켜 고위관직을 없애는 등 새로운 정부를 만들기 위해 정강 14조를 발표하고 여러 곳에 새로이 인사를 파견하는 등 개혁에 성공한 듯 했으나 3일째에 명성황후의 요청으로 궁궐에 들이닥친 청나라 군대에 의해 고종을 호위하던 일본군이 사전약속을 어기고 도망치자 김옥균은 일본으로 망명, 홍영식 등의 개화파는 처형당하게 된다. 이로써 갑신정변은 3일 천하로 끝이 났다.
▶정강 14조
1. 청에 잡혀 간 흥성대원군을 곧 돌아오게 하며, 종래 청에 대하여 행하던 조공의 허례를 폐진한다.
2.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세워 능력에 따라 관리를 임명한다.
3. 지조법을 개혁하여 관리의 부정을 막고 백성을 보호하며, 국가 재정을 넉넉하게 한다.
4. 내시부를 폐지하고 그 중에 재능 있는 자만을 등용한다.
5. 전후 간사한 관리와 탐관오리 가운데 현저한 자를 처벌한다.
6. 각 도의 환상미를 영구히 받지 않는다.
7. 규장각을 폐지한다.
8. 급히 순사를 두어 도둑을 방지한다.
9. 혜상공국을 혁파한다.
10. 귀양살이를 하고 있는 자와 옥에 갇혀 있는 자는 그 정상을 참작하여 적당히 형을 감형한다.
12. 모든 재정을 호조에서 통할한다.
14. 정부 6조 외에 불필요한 관청을 폐지하고 대신과 참관으로 하여금 이것을 심의 처리하도록 한다.
3. 갑신정변의 의의
갑신정변은 이후 개화라는 인식을 부정적으로 바꿔버릴 정도로 당시 조선사회에서는 반역의 아이콘이 되어버렸다. 또한 자주적 자립이 아닌 전적으로 일본에 의존적이었다는 점과 당시 조선의 뿌리깊은 성리학 왕조 국가이념과 일본을 매우 싫어했던 민중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 곳에는 더 많은 정보들이 있어요! :)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공유를 부탁드려요!
당신의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미사변의 배경과 의의 (0) | 2018.08.03 |
---|---|
임진왜란의 배경과 전개과정 (0) | 2018.07.05 |
임오군란의 배경과 결과 (0) | 2018.05.02 |
강화도 조약의 배경과 결과 (0) | 2018.04.26 |
6.25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0) | 2018.04.11 |